20일 개성공단 관계자들에 따르면 입주기업 모임인 `개성공단 기업책임자회의’는 지난 10일 운영위원회를 열어 초코파이 지급 상황이 업체별로 달라 경영활동에 애로점이 있다는 데 공감대를 모으고, 이 자리에 참석한 개성공단관리위 관계자에게 대책 마련을 건의했다.
입주기업 대표는 “업체별로 북측 근로자에 하루에 주는 초코파이가 3∼4개에서 많게는 10개가 넘는 곳이 있을 정도로 다양하다”며 “관리위가 실태조사를 거쳐 권고 기준을 세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업책임자회의는 초코파이를 현금으로 달라고 하는 북측의 요구에 대한 대책과 북측 근로자의 성과급, 수당 등에 대해서도 권고 금액을 세워달라고 주장했다.
기업들은 그동안 북측의 지나친 요구에 대응책을 찾지 못하고 혼선을 빚어왔다.
간식, 성과급 지급에 상한선이 없어, 일부 업체는 경영상태가 좋지 않음에도 다른 업체의 수준을 맞추기 위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들은 "북측 근로자에게 임금 이외에 간식이나 수당 지급은 업체의 고유권한이지만, 북측은 무리한 수준을 요구하며 불성실한 작업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고 토로했다.
또 기업들은 북측에 초코파이의 현금화 요구를 중단해달라고 요구해왔지만 북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입주기업들 사이에서는 정부와 공단관리위가 공단 내 현안에 관심이 적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개성공단의 한 관계자는 “정부와 공단관리위가 공단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는 데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