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아줄기세포 치료 활용도 UP

- 국제공동연구팀, 유전적 안정성 검증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윤리적인 문제를 비롯해 유전적 변이로 걸림돌로 작용했던 배아줄기세포 치료 활용도가 앞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29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38개 연구기관 125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전적 안정성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배아줄기세포를 세포치료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배양과정에서 염색체 이상과 같은 변형 없이 유전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공동연구팀은 전세계 연구팀으로부터 각각의 다양한 배양방법으로 배양한 120쌍의 배아줄기세포와 11쌍의 역분화 줄기세포의 샘플을 회수, 분석했다.

분석결과 배아줄기세포는 120개 중 41개의 세포주 만이 변형을 일으켰고, 총 65.8%(79개)의 세포주가 장기간 다양한 방법의 배양법에서도 정상 핵형을 유지했다.

역분화줄기세포의 경우에도 11개 중 3개에서만 염색체 이상이 발견됐으며 총 72.7%(8개)의 세포주가 정상 핵형을 유지했다.

염색체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주로 특정 연구실에서만 일어나 배양관리를 잘하면 염색체가 정상으로 장기간 유지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정도의 수치는 장기간의 배양기간과 다른 세포에서의 결과를 고려할 때 배아 줄기세포 자체가 배양에 대해 매우 안정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효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작업을 통해 배양하는 방법이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한 바와 같이 배양방법의 정도관리에 따라 염색체 이상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줄기세포 포럼이 후원, 피터 앤드류(Peter Andrews) 영국 셰필드대학교(University of Sheffield)의 교수를 주축으로 2008년 시작됐다.

국내에서는 교과술부 21세기프론티어 세포응용연구사업단(단장 연세대 김동욱교수) 줄기세포은행팀의 지원을 받은 이동율 차의과대학교 교수팀, 최영민·오선경 서울대의대 박사팀 등이 참여했다.

김 단장은 “100여종 이상의 인간배아줄기세포주를 장기간 배양하며 수행한 연구의 결과, 배양관리를 잘하면 장기간 배양에서도 인간배아줄기세포가 비교적 염색체 안전성을 잘 유지해 재생의학에 이용이 가능함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Nature Biotechnology) 11월 28일자(한국시간)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