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최근 기획재정부 차관과 외교통상부 차관, 법무부 차관 등 유관부처 관계자와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교추협) 서면 심의를 통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지원으로 146만여 명의 북한 영유아와 어린이, 임산부 등에게 혜택이 돌아갈 예정이다.
최보선 대변인은 지원내역에 대해 "영유아·임산부에 대한 백신·의약품 지원에 약 281만달러, 취약계층에 대한 영양실조관리·영양실조예방·영양개선사업에 약 250만달러, 기타 행정비에 약 35만달러가 사용된다"고 말했다.
유니세프를 통한 정부 차원의 대북지원은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정부는 남북관계 경색 등으로 지난해부터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지원을 중단한 바 있다.
정부는 1996년부터 2009년까지 유니세프를 통해 대북 영유아사업에 2095만달러를 지원했다.
이번 조치는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취임 이후 유지해온 대북 유연화 조치의 일환으로, 방미 당시인 지난달 5일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 “유엔기구를 통한 정부 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류 장관의 방미 직후인 지난달 8일 세계보건기구(WHO)를 통한 대북지원 재개를 승인했다.
교추협은 또 개성공단 활성화 조치의 일환으로 이미 결정된 공단 내 응급의료시설 건립에 26억6000만원을 지원키로 결정했다.
응급의료시설은 기존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별관 건물(1487㎡,450평)을 리모델링해 사용하며 응급실, 내과 등의 진료실과 병상 10개, 의사 2명, 간호사 2명, 응급구조사 1명, 임상병리사 1명, 방사선사 1명, 행정요원 1명 등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또 교추협은 북측 근로자들을 위한 출ㆍ퇴근버스 주차장 확장과 자동차검사소 설치를 위해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에 ‘연리 1%,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24억원을 대출키로 했다.
이와 함께 3대 공동체 형성과정과 통일미래 준비에 예상되는 다양한 과제를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남북공동체 기반조성사업 2차년 사업’에 69억원을 지원하기로 의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