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신문은 18일 열릴 한국과 일본의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 차원에서 민간인 징용자의 유골반환이 실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 조사에서 2689인의 유골이 한반도 출신 민간인 징용자의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측 조사에서 이 중 110명의 신원이 확인됐다. 70명은 주소까지 확인돼 이번에 20명의 유골이 한국에 반환되는 것이다.
한일 양국은 2004년 12월 정상회담을 계기로 유골 반환 작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왔다. 2008년에는 4차례에 걸쳐 군인·직속 징용자의 유골 423위가 한국으로 보내졌다.
한국 정부는 군부대 징용자와 마찬가지로 민간인도 일본 정부가 조의금을 지불하고, 추도식을 여는 등 사죄할 것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정부와 직접 고용관계가 아니었다”며 거부해 지금껏 유골반환이 늦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