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아파트 대세?…중·대형 하락세에 나홀로 상승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02 09: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기권 60㎡이하 2.63% ↑..서울·인천은 하락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수도권 아파트값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실수요자들이 주로 찾는 소형 아파트만 ‘나홀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114가 2011년 면적별 아파트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전체의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가격은 전년도 말보다 1.04% 올랐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60~85㎡의 중형 아파트는 0.40%, 85㎡를 초과하는 대형 아파트는 1.47% 각각 떨어졌다는 점에서 소형 아파트만 유일하게 선전한 셈이다.

수도권 소형 아파트의 상승세는 경기도 지역이 주도했다. 경기도의 60㎡ 이하 소형 아파트는 1년 사이 2.63%나 올라 서울(-0.01%)과 인천(-1.40%)의 가격 내림폭을 메우고도 남았다.

서울과 인천은 소형 아파트마저 다소 약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그나마 중형(서울 -0.53%, 인천 -2.11%)과 대형(서울 -1.38%, 인천 -3.40%)보다는 훨씬 선방했다는 평가다.

국민은행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서도 소형 아파트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현재 수도권 소형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년 말 대비 1.8%, 중형 아파트는 0.3% 각각 올랐고 대형 아파트는 1.4% 떨어졌다.

경기도 소형 아파트가 3.7% 올라 상승세를 주도했고, 서울에서도 대형과 중형이 1.5%, 0.3% 각각 하락한 반면 소형은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소형아파트가 불황에도 굳게 버틴 이유는 공급 부족과 전세난 영향 때문이다. 또 2000년대 후반 수도권 주택시장이 호황을 맞자 건설사들이 더욱 큰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중대형 아파트를 앞다퉈 짓느라 상대적으로 소형 아파트가 부족해졌다는 진단이다.

또 전세난에 매매로 돌아서는 수요자들이 주로 경기 지역의 저렴한 아파트를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소형 아파트의 수요층이 예전보다 두터워진 상태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실제 거주할 수요자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시장이 움직인다는 분석 아래 당분간 소형 아파트 우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