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학교는 단백질센서연구소가 최근 3년 동안 노인과 청년의 혈청 내 고밀도지단백질(HDL)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노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단백질 쇠퇴가 가속화돼 입자가 가진 전기의 양(전하량)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소는 또 이 같은 변화 때문에 극미량의 샘플이나 시료 만으로도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화학 마이크로프로세서, ‘랩온어칩(lab-on-a-chip)’에서 노화 정도에 따라 단백질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도 확인했다.
청년 혈청의 단백질은 전기를 통하게 할 경우 랩온어칩 위에서 짧고 선명한 모습을 보이는데 반해 노인 경우에는 이것이 길고 흐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연구소측은 이 기술을 이용할 경우 가정이나 병원에서 손쉽게 신체적 노화의 정도뿐만아니라 당뇨, 동맥경화 위험도까지 자가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성과는 관련 분야의 저명한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급 국제 학술지인 ‘일렉트로퍼레시스(Electrophoresis)’ 최근호에 실렸으며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우수 연구 과제로도 선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