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방송은 28일 “김정은 동지께서 김정일 동지의 서거에 깊은 애도의 뜻을 표시해 조전을 보내온 여러 나라 당 및 국가수반들에게 답전을 보내셨다”며 “심심한 애도와 진심 어린 위문의 뜻이 담긴 조전을 보내준 데 대해 깊은 사의를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답전 대상은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쿠바, 네팔, 몽골, 방글라데시, 시리아, 이란, 이집트,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수십 개 국가의 대통령과 국왕, 당 대표 등이다.
김 부위원장은 전문에서 이들 국가와 북한 간의 친선협조관계가 발전하기를 바란다는 뜻도 표시했다.
김 부위원장이 자신의 이름으로 외국 정상에게 공개적인 메시지를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김 부위원장이 외교 무대에 사실상 공식 등장한 것이라는 평가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한편 답전 대상에서 중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김 부위원장이 이미 류훙차이(劉洪才) 북한주재 중국대사 등을 통해 비공개적으로 답전을 발송했거나 향후 별도로 답례하려는 계획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김 위원장 사망 후 중국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비롯해 중국 권력의 정점에 있는 상무위원 9명 전원이 베이징 주재 북한 대사관을 방문해 조문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