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는 지난 2008~2010년간 이들 3개 기업집단 31개 계열사의 ‘대규모 내부거래 이사회 의결 및 공시’ 이행 여부를 점검한 결과 20곳이 47건의 공시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파악돼 과태료를 부과했다고 8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기업집단별 위반은 LS 22건, 한화 18건, 두산 7건이다. 과태료 부과금액은 한화가 4억656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LS 4억1515만원, 두산 3500만원 등의 순이다.
이들 그룹은 특수 관계인과 내부거래를 할 때 거래액이 100억원 이상이거나 자본총계·자본금 중 큰 금액의 10% 이상이면 이사회 의결을 거쳐 공시해야 함에도 의결절차를 밟지 않은 사례가 21건이나 됐다.
공시에 주요 내용을 빠뜨리거나 늦게 고시한 사례도 12건, 9건이었다.
이들의 공시의무 위반 거래는 자금거래(20건), 상품·용역거래(18건)가 대부분이었다.
자금거래는 LS가 15건, 상품·용역거래는 한화가 15건으로 가장 많았다.
LS는 계열 LS니꼬동제련이 재활용업체 지알엠에 4차례 905억원의 유상증자에 참여한 사실을 공시하지 않거나 거래상대방을 누락해 공시했다.
LS네트웍스, E1, LS엠트론 등도 토리콤, 캐스코, 오디캠프 등에 유상증자와 돈을 빌려주면서 공시를 부실하게 했다.
한화 그룹의 광고회사인 한컴은 2010년 3분기~작년 2분기 중 한화호텔앤드리조트(151억원), 한화건설(47억원), 한화(20억) 등과 6건의 광고대행·제작 계약을 이사회에 알리지 않고 공시하지도 않았다.
한화건설(208억)·한화(599억원)와 건자재 계약을 한 한화엘엔씨, 한화건설(554억원)과 통신자재 계약을 한 한화에스앤씨, 한화건설(748억원)과 식음료 계약을 한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등도 마찬가지였다.
반면 두산은 두산베어스가 두산캐피털로부터 5차례 56억원을 차입하면서 이사회에 알리거나 공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 관계자는 “오는 4월부터 대규모 내부거래의 공시대상과 범위가 100억원에서 50억원 이하로 확대돼 사회적 감시가 더욱 강화된다“며 ”공시의무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해 위반 시 엄중히 제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