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 실물자산연구팀은 9일 펴낸 계간 ‘부동산시장 동향분석’에서 “정책적 측면에서 월세 임대에 비해 전세 임대에 더 유리하게 부동산 세제가 형성 돼 있다”며 “향후 이러한 세제상의 불균형을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장기간 1가구 1주택원칙이 주택정책에 반영돼 왔고, 이에 따라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에의 중과세가 채택되어 온 반면, 전세보증금에서 발생하는 자본이득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유지돼 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 임대주택 공급과 수요는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고 있는데, 전세에만 유리하도록 세제가 마련돼 있는 점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연구팀은 “1995년~2010년 사이 전세가구의 비율이 29.7%에서 21.7%로 감소한 반면, 월세가구 비율은 11.9%에서 20.1%로 증가했다”며 “전통적으로 월세는 재산이나 소득이 부족한 가구의 주거형태로 인식됐지만 최근에는 소비자 선택의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또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높일수록 가계소비가 감소하고, 주택가격이 하락하는 등 거시경제변수의 변동성이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LTV를 낮추면 금리인상 충격에도 주택가격변동성이 축소돼 주택시장 및 금융시장 안정에는 도움을 주겠지만, 주택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용이성은 감소하는 트레이드오프(trade off)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공공임대주택과 관련해서도 “부동산펀드 등 지분투자 방식과 함께 임대주택 개발 및 운용을 위한 대출을 유동화한 채권투자 방식의 도입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미국 부동산 금융시장의 위기가 금융시장 전반에 걸친 위기로 이어져 글로벌 실물경제 위축으로 전이된 사례를 볼 때 중앙은행의 부동산가격 변동성에 대한 적절한 대응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은행이 주택가격변동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을 현실성 있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