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지금은 신공항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넓히는 게 우선이지 마치 신공항이 결정된 것처럼 입지 등에서 주장을 달리하고 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입지 문제와 관련해선 공정하고 객관적인 전문가들에게 맡길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서는 "국가 정책이라는 것은 중요한 약속이고 또 지금같은 글로벌 환경에서 국제사회의 약속"이라며 국익 여부 부분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때도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고 지금도 그렇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영토가 넓어지면 수출과 고용이 넓어지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며 시스템의 선진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경색된 남북관계와 관련 "우리로서는 대북 정책이 진화해야 하고 북도 마찬가지로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지금 북의 체제를 예측할 순 없지만 우리 대북 정책의 최종 목표는 북이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 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한다"고 지적했다.
북한을 직접 방문해 남북관계 문제를 해결할 생각은 없느냐는 질문에는 "정부 당국에 있는 당국자도 아니고 이는 제가 말씀 드릴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면서도 "남북관계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제가 할 수있는 모든 것(특사 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