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은의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를 보면 30세 미만 소비자의 현재생활형편 CSI는 지난 1월 기준 70을 기록했다.
이는 2009년 1월 6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생활형편 CSI가 기준치인 100을 밑돌면 현재 생활이 과거보다 나빠졌다고 보는 응답자가 더 많다는 의미이고 100을 웃돌면 그 반대다.
30대 미만 소비자의 현재생활형편 CSI는 전체 평균인 83보다도 13포인트 떨어졌다.
6개월 후 전망도 마찬가지다. 30대 미만의 생활형편전망 CSI는 83으로 전체 평균 90을 7포인트 낮았다.
젊은 세대의 체감 생활형편이 나빠진 것은 청년층 취업기회가 적어져 소득여건이 크게 개선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30대 미만의 취업기회전망 CSI는 70으로 전체 평균 83에 크게 미달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공식 실업률은 3.4%로 완전고용에 가까웠으나 체감실업률은 11.3% 특히 청년층의 체감실업률은 2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빚은 소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2011년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25~30세인 가구의 경상소득은 평균 312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9.3% 늘었다. 같은 기간 부채총액은 1458만원으로 2010년에 비해 34.3% 급등했다.
소득보다 빚이 4배가량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부채 종류별로 보면 담보대출이 635만원에서 906만원으로 42.7%나 올랐다.
담보대출 용도는 거주주택 마련 44.3%, 생활비 마련 16.8%, 전(월)세 보증금 마련 16.3% 순이었다.
그러나 거주주택 마련 비중은 2010년(46.0%)보다 줄어든 데 반해 생활비 마련은 전년(2.4)%에 비해 7배 급등했다. 전(월)세 보증금 마련 비중은 2010년(16.6%)과 비슷했다.
신용카드 관련 대출은 27만원에서 33만원으로 22.2%, 외상 및 할부미상환액은 70만원에서 90만원으로 28.6% 증가했다. 반면 저축액은 1720만원으로 전년보다 18.8%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