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22일 서울 르네상스 호텔에서 생산기술연구원, 재료연구소, 인하대, 포스코, 중소 소재 부품기업 등이 참석한 가운데 보잉사와 ‘소재부품 글로벌 동반성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지경부와 보잉사 간 항공소재부품 공동개발 프로젝트 추진과 보잉사에 대한 국내 소재부품 공급 확대 등 포괄적 협력을 위한 것이다. 이번 MOU에 따라 지경부와 보잉사는 항공기용 소재인 Eco-Mg와 Eco-Al(한국생산기술원), 티타늄·복합재(재료연구소), 헬스모니터링 시스템(인하대), 비파괴 초음파 검사 장치(휴먼스캔), 친환경 신소재(포스코 등) 등의 공동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국내기관과 기업들의 항공 소재부품 개발을 지원하고, 보잉사도 공동 펀딩을 통해 국내 소재부품기업과 개발 제품의 항공기 적용 적합성 테스트 및 상용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MOU를 계기로 그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나 대한항공 등 대기업을 통해 모듈 형태의 부품을 공급했던 국내 소재 부품 기업들이 직접 보잉에 납품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고 지경부는 전했다.
또 포스코는 보잉사와 필요한 첨단소재를 공동으로 개발키로 하는 등 보잉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으며, 카이스트와 인하대 등 대학들도 보잉과의 공동 기술 개발에 적극 협력하고 국내 기업에 기술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경부와 보잉사는 앞으로 항공 소재부품분야에 진출 가능성이 큰 국내 기업을 추가로 발굴하고 열손실 방지 소재 및 코팅기술, 3D 시청각 장치 등으로 협력분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국내 소재부품 업체들이 보잉사에 기술과 제품을 홍보하고 알릴 수 있는 상시적인 접촉 창구를 마련하고 이를 보잉에 대한 국내 소재부품의 공급채널로 활용하기로 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그간 보잉사는 스페인, 러시아 등 5개국에만 해외 R&D 센터를 두고 국제 공동 R&D 협력을 진행했다”며 “이번 협력은 항공 분야 세계 최고 기업인 보잉으로부터 국내 소재부품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쾌거”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