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1년중 기관투자가의 외화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 기관투자가의 해외 외화증권투자 잔액(시가 기준)은 582억달러로 연중 114억달러 감소했다.
이는 리먼사태가 있었던 2008년 말 540억5000만달러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한은은 이에 대해 주요 투자 대상국의 주가 하락 등으로 자산운용사의 보유주식 평가액이 감소한 데다 해외 주식형 펀드에서 환매가 일어난 데 주로 기인했다.
2011년중 주요국 주가 하락률은 중국 -21.7%, 홍콩 -20.0%, 브라질 -18.1%, 일본 -17.3%, EU -17.1%이었다.
기관투자가별로는 자산운용사의 외화증권투자 잔액이 크게 감소(-124억달러)하고 외국환은행은 소폭 감소(-5억달러)했다. 반면 보험사, 증권사의 외화증권 투자 잔액은 소폭 증가(각각 +11억달러, +5억달러)했다.
종목별로는 주식투자 잔액이 큰 폭 감소(-129억달러)한 반면 채권 및 `코리안 페이퍼‘(국내 기업이나 기관이 외국에서 발행한 채권)투자 잔액은 소폭 증가(각각 +7억달러, +8억달러)했다.
특히 주식투자는 자산운용사의 해외 주식형펀드 환매, 보유잔액의 평가액 감소 등으로 크게 감소했으며 채권투자는 보유채권의 평가액이 늘어나면서 소폭 증가했다고 한은 측은 밝혔다.
또한 코리안 페이퍼 투자는 보험사를 중심으로 한 순매수로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