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농업인은 생산에 전념, 유통·판매는 농협이 책임지는 구조를 정착하겠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올해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로 농협 개혁을 내세웠다.
앞으로는 농협중앙회가 조합 출하물량의 50% 이상을 책임 판매하도록 해 농업인은 생산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4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일 농협중앙회가 신용(금융), 경제(농산물 유통) 사업부문을 분리하는 등 51년만의 대개편을 하면서 경제사업활성화를 본격 추진한다.
이에 따라 먼저 농협의 유통·판매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 등 인프라를 확충해 소비지유통 17%를 점유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 안성에 청과도매물류센터와 양곡유통센터, 부천에는 축산물종합유통센터를 각각 착공하는 등 모두 1조53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또 경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농협중앙회 경제사업을 농협경제지주에 단계적으로 이관하는 작업을 2017년까지 완료한다.
중앙회 내 기존 경제조직은 지도·지원기능을 통합 및 효율화해 원예·양곡·축산 등 품목별 전문판매조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농협 경제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농협경제사업평가협의회’를 구성, 경제사업 추진실적 및 성과를 점검·평가키로 했다.
의회는 농업인단체 2명, 유통전문가 3명, 농식품부 공무원 1명, 중앙회 직원 및 조합장 5명, 기타 4명 등으로 이뤄졌다.
아울러 수협도 ‘어업인을 위한 수협’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오는 5월까지 ‘수협 경제사업 활성화 세부 실천계획’을 마련키로 했다.
이 실천 계획은 수협의 판매기능 강화 및 투자계획 등을 구체화하는 안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