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회담에서 중국 내 탈북자에 대한 강제 북송 중단을 요구했다. 김 장관은 특히 국제협약상의 강제송환 금지원칙과 국내 여론 등을 거론하면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자세하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양 부장은 “국내법과 국제법,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타당하게 이 문제를 처리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과 양 부장은 최근의 북미 2ㆍ29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 장관은 나아가 북한이 약속한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 중지 등 이른바 비핵화 사전조치가 조속히 이행되길 희망한다고 밝혔고, 양 부장은 이른 시일 내에 6자 회담이 재개되길 기대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또 중국 어선 불법 조업과 관련해, 중국측에 ‘2+2(외교+어업당국) 협의체’ 구성을 재차 제안했으며 중국측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양 부장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논의를 신속하게 진행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양국 외교 수장은 확대회담에의 공개 발언에서는 민감한 탈북자 문제등에 대한 언급을 삼갔다.
김 장관은 회담에 앞서 공개발언을 통해 “긴밀한 소통과 협력으로 양국간 상호 신뢰를 증진, 한중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가 미래지향적 성숙한 관계로 발전하도록 함께 노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부장은 “이번 방문으로 양국간 전략적 의사소통이 강화되고 상호 신뢰가 구축돼 여러 분야에서의 교류ㆍ협력이 한층 심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확대회담에는 두 나라 장관 외에도 조세영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과 뤼자오후이 중국 아주국장 등 두 나라 외교 실무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