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동일본 대지진 피해 지역의 쓰레기 처리에 일본 정부가 곤란을 겪고 있다.
4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내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대지진 피해지역의 쓰레기 수용 여부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33%는 '현 시점에서는 곤란하다', 53%는 '전혀 수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등의 답변을 하는 등 총 86%가 수용을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는 동일본대지진 피해 지역의 쓰레기를 전국에 분산 처리해 2014년 3월 말까지 모든 쓰레기의 처리를 종료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저항으로 처리가 어려울 전망이다.
대지진 당시 집중 피해 지역인 이와테(岩手)현과 미야기(宮城)현, 후쿠시마(福島)현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모두 2252만8000t에 달한다.
이 중 지금까지 재이용과 소각 및 매립 등으로 처리가 끝난 쓰레기는 약 5%(117만 6000t)에 그치고 있다. 다른 지역에서 쓰레기를 받지 않으면 복구작업이 늦어질 수밖에 없는 상태다.
각 지자체 별로는 이와테현은 발생 쓰레기 475만 5000t 가운데 8%(36만 7000t), 미야기현은 1569만 1000t 가운데 5%(71만 9000t), 후쿠시마현은 208만 2000t 가운데 4%(9만t)가 처리됐다.
쓰레기는 쓰나미와 대지진으로 건물이 부서지면서 발생한 잔해와 생활 쓰레기, 침수된 산업 쓰레기 등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