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대표는 6일 국회에서 대표회담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4·11 총선 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양당은 2차 대표회담을 위한 실무협상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공동정책 합의문을 만들기 위한 정책협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8일 발표할 최종합의문에는 총선후보 단일화 방안이 포함된다. 현재 민주통합당은 ‘4 + 1안(수도권 4곳, 충북 1곳 양보)’을, 통합진보당은 ‘10 + 10안(민주당 수도권 10곳 + 비수도권 10곳 양보)’을 주장하고 있으며 영남지역에서는 지역별로 협상을 하자고 맞서고 있다.
한 대표는 회담에서 “야권연대는 포기할 수 없는 과제로 올해 총선 승리를 비롯해 정권교체와 다음에 올 민주진보 정부의 굳건한 중심축을 만드는 시작이라 생각한다”며 “양당 대표가 전권을 위임받아서 왔고, 반드시 야권연대를 통해 희망과 승리의 결실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공동대표는 “작은 이익도 찾지 않겠다. 결단할 것이다”라며 “전국적이고 포괄적 야권연대가 실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는 △지도부가 전권을 가지고 결단·책임 지며 △야권연대는 전국적·포괄적으로 이루고 △정책 협의와 정치협상을 병행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민주통합당 신경민 대변인과 통합진보당 천호선 대변인은 회담이 끝난 뒤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이런 원칙 하의 연대를 진보신당에도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천 대변인은 "과거 야권연대가 있어 왔지만 전국적으로 이뤄진 적은 없었다"면서 '전국적인 연대를 이루자는 합의'를 강조했으며, 신 대변인은 야권연대 선정 지역에 대해 “무공천 지역과 경선지역 다 고려한다”고 말해 ‘전국적’ 범위의 협상이 이뤄질 것임에 방점을 찍었다.
정책협의와 단일화 방안 등은 양 당 실무대표인 민주통합당 박선숙 의원과 통합진보당 이의엽 상임선거대책본부장 간에 이뤄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