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업계 ‘몰트’가 뜬다

(아주경제 진현탁 기자) 주류업계에 ‘몰트(Malt)’열풍이 불어닥치고 있다.

최근 식품에서 시작된 원재료에 대한 관심이 주류로까지 이어지며 몰트 주류들의 인기가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는 것. 몰트는 발아시킨 보리의 낟알로, 즉 ‘맥아’를 말하는데, 몰트의 함량이 높을수록 진하고 깊은 맛을 낸다는 장점이 있다.

◆풍부하고 깊은 보리맥주 맛으로 승승장구-몰트 100% 고급맥주

수입맥주 시장이 커짐과 함께 다양한 맛을 가진 맥주들이 시장에 선보이며 맛으로 맥주를 선택하는 애주가들이 늘어났다. ‘맛’을 아는 애주가들의 사랑과 함께 몰트 100% 맥주들이 풍부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며 승승장구 하고 있다.

일본 프리미엄 맥주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가 대표적. 이 제품은 일반 맥아보다 전분함량이 높은 상급 두 줄 보리맥아와 최상급 홉으로 유명한 체코산 사즈홉을 100% 사용해 보다 깊고 풍부한 맛과 향을 자랑한다. 잔에 따라서 마시면 넓게 퍼지는 꽃 향기와 같은 홉의 향과 진하고 깊은 보리맥주의 맛을 보다 잘 느낄 수 있다.

지난 2010년 12월에 수입된 이후 수도권 약 50개 매장에 불과하던 판매업장이 올 2월 현재 전국 약 1,500개로 영업망이 급격하게 확대됐다. 지난 9월에는 캔맥주를 출시하며 대형마트와 편의점으로 유통경로를 확대했다.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관계자는“재료의 맛을 그대로 살리는먹거리들이 인기를 끌며, 고급 몰트와 홉 100%에서 오는 깊고 풍부한 맛과 화려한 향이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맥주의 맛으로 진실되게 다가간 것 같다”고 말했다.

‘OB 골든라거’는 오비맥주가 80년 대한민국 맥주명가의 자부심과 장인정신으로 빚어낸 고품격 맥주다. 이 제품은 국내 유일의 타워 몰팅(Tower malting) 공법을 이용해 만든 100% 골든 몰트(황금맥아)를 100% 독일 아로마홉과 황금비율로 배합해 깊이와 품격이 다른 풍부함을 선사한다.

지난해 3월 출시 후, 200일 만에 1억병(330ml, 10월 기준)을 돌파하며 상승가도를 달리고 있는 ‘OB 골든라거’의 인기 비결로 100% 골든 몰트(황금 맥아)를 빼놓을 수 없다. 골든 몰트란 캐나다 및 호주의 최고급 청정보리를 타워 몰팅 공법으로 로스팅한 것을 말한다. 골든 몰트로 빚은 ‘OB 골든라거’는 맛이 구수하고 풍부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퀄리티 높은 맛을 고르게 유지한다.

◆나만 잘나가~, 위스키시장 부진 속 홀로 판매율 상승 -싱글 몰트 위스키

지난해 경기 침체로 인한 위스키시장은 불황을 면치 못했으나 싱글 몰트 위스키 판매량은 오히려 성장했다. 2010년 5만 6805상자에서 2011년 6만5435상자로 8.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글렌리벳 23.8%, 맥캘란 19.9% 등 대다수 싱글 몰트 위스키가 두 자릿수 신장했다.

위스키 전체 판매량은 2010년 269만 71185상자(1상자=700ml 12병)에서 2011년 256만 6020상자로 전년대비 4.9% 하락했다. 싱글 몰트 위스키는 한 증류소에서 100% 보리만을 증류한 위스키로 맛과 향이 뛰어나지만 일반 위스키보다 생산량이 제한적이고 오랜 숙성기간을 필요로 하는 고급주류이다.

글렌리벳은 세계최초로 프리미엄 싱글몰트 스페이사이드 스카치 위스키를 낸 유일한 브랜드이다. 셰리 와인을 담았던 오크통에서 숙성하여 몸통이 넓고 목이 긴 형태의 증류기에서 증류시켜, 감미로운 과일 향과 톡 쏘는 맛이 특징이고, 약간 달면서도 새콤한 오렌지 맛이 느껴진다.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싱글 몰트 위스키 맥켈란은 1824년 현재 형태의 증류소가 세워진 후 소규모 가족사업 형태로 전통적인 증류 방식을 운영하고 있다. 회고의 품질을 위해서 스카치 위스키 제조에 최적합한 ‘황금빛 약속(Golden Promise)’ 라는 보리 품종을 사용하며, 전통과 장인정신을 그대로 간직한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작은 증류기를 사용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