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서울시 주택정책의 기조변화에 ‘속앓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11 14: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최근 서울시의 뉴타운 정비·해제, 재건축 소형비율 확대방침 등 주택정책 전환에 대해 건설업계는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사업차질과 타격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11일 매출액 상위 10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서울시 주택정책이 건설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세입자보호와 공공성을 강조하는 정책방향에 대해 ‘기본적으로 옳거나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표’라고 응답한 기업이 87%에 달했다. 뉴타운 옥석가리기에 대해서도 54%가 ‘추진이 불가피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피해를 걱정하는 의견도 많았다. 응답기업 59%가 ‘서울시의 주택정책 변화로 사업추진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고 ‘이미 금전적 손실이나 사업차질이 발생했다’는 업체도 5%로 나타났다.

이들이 예상하는 피해액으로는 ‘50억원 미만’ 29.7%(19개사), ‘50~100억원’ 23.4%(15개사), ‘100~500억원’ 10.9%(7개사) 순으로 조사됐다.

피해액 처리방침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78%가 ‘조합이나 시행사에 손해배상 청구할 것’이라고 답변해 손실 분담을 놓고 주민 불만과 갈등, 법정소송이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대한상의는 “부동산경기 침체로 주택사업이 위축된 상황에서 서울시가 규제강화로 선회하는 듯한 조짐을 보여 건설업계가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면서 “택지가 부족한 서울의 특성상 뉴타운, 재건축사업의 위축은 수급불안을 초래하고 장기적으로 주택난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향후 서울에서의 주택사업 계획’을 물은 결과, ‘공급을 줄이겠다’는 응답비율이 34%에 달한 반면 ‘늘리겠다’는 비율은 3%에 그쳤다. 감소 폭은 ‘10~30%’(41.2%)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 주택정책이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계속될 경우 ‘뉴타운과 재건축에 악영향’(36%) 줄 뿐 아니라 ’부동산시장 전반에 타격을 줄 것‘(43%)으로 예상했고, 그로 인해 ‘건설경기 침체 가속화’(49%), ‘주택공급 축소’(31%), ‘정비사업 중단으로 도시슬럼화’(19%) 등의 부작용을 낳을 것을 우려했다.

서울시 주택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정책기조의 급격한 변화’(34%), ‘실효성 있는 대안부재’(32%), ‘현실 고려 부족’(27%) 등을 차례로 꼽았고, 재건축 소형비율 확대정책에 대해서는 ‘서민 주거안정에 도움이 되기’(45%) 보다는 ‘전세 물량감소와 가격상승 효과가 더 클 것’(55%)으로 평가했다.

서울시가 주택정책에서 역점을 둘 과제로는 ‘규제완화’(61%)를 가장 많이 주문했고, 도심내 주택공급에 중요한 재건축, 뉴타운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해서는 ‘인·허가기간 단축’(38%), ‘용적률 상향’(28%), ‘세입자 대책비용 지원 강화’(17%), ‘기반시설 설치지원’(14%)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