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28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기가급 인터넷 시범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신청을 20일까지 받을 예정으로 이달 말 대상자를 결정한다.
올해 4년째 진행되는 시범 서비스는 지난 3년간 13개 지역 2500가구에 대해 이뤄졌다. 사업은 정부와 사업자의 일대일 투자 형식으로 진행되며 매년 24억원 정도의 예산이 투입, 올해 지원 금액이 늘었다.
지금까지는 KT와 LG유플러스, CJ헬로비전이 시범사업에 참여했다.
KT와 CJ헬로비전의 사업대상 가구 비중이 높은 편이다.
올해에는 SK브로드밴드도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기가급 인터넷 상용화에 적극적인 곳은 CJ헬로비전으로 지난해 말 전국의 18개 케이블 권역에서 신축 대규모 아파트를 대상으로 서비스에 나섰다.
CJ헬로비전은 기가급 인터넷 사업을 통해 케이블방송의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인식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요금은 인터넷 전화와 결합 등을 통해 4년 약정 월 2만원 수준으로 기존 100Mbps 서비스에 비해 크게 높지 않은 수준이다.
CJ헬로비전은 그러나 다른 사업자와는 달리 케이블 권역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며 전국 서비스에 한계가 있다.
KT와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다른 사업자들은 신중한 모습을 보이면서 CJ헬로비전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망에 대한 투자에 적극 나서면서 기가 인터넷 사업은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는 상태다.
사업자들은 기가 속도의 유선 인터넷 서비스가 구축되면 고해상도나 3D 등의 고품질 영상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트래픽 폭증에 대응할 수 있는 등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것은 인식하면서도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은 고품질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크지 않다는 점도 투자에 선뜻 나서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
비싼 요금제를 통해 투자비를 회수하기 어렵고 망중립성에 대한 정책 결정이 아직 구체화되지 못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스마트TV 분쟁에서 드러난 것처럼 다른 사업자들이 투자의 과실을 누리게 되는 만큼 망 이용 대가를 제대로 지불하는 제도적인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투자에 적극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올해 시범 사업자 선정 이후 진행 과정을 통해 각 사업자와 상용화를 타진하면서 확대를 모색할 방침이다.
한 업체가 기가급 인터넷의 전국 서비스를 결정할 경우 다른 사업자들도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정부는 2015년까지 20%의 가입자가 기가급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망을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롤 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그동안 100Mbps 광대역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역시 정부의 초기 사업 유도를 통해 확산될 수 있었다”면서 “기가급 인터넷도 올해 전국 사업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