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상용화된 대체연료는 바이오디젤. 하지만 전혀 '구원자'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씁쓸하기 그지없다.
경유가 매일 최고가를 경신할 정도로 고가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 바이오디젤의 경제성은 여전히 경유만 못하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정부는 기름값 문제를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해결하려 하고 있다. 역시 바이오디젤이 제 구실을 하도록 만드는 데도 같은 접근방법이 필요해 보인다.
바이오디젤 제조업체들은 원청업체인 정유사에 비해 불리한 거래조건에 노출돼 있다. 10여개 정도의 업체들이 정유 4사의 납품계약을 따내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것.
그런데 재작년부터 몇몇 정유사들이 입찰을 하지 않고 기존 납품업체와 계약을 연장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재입찰에 참여하려고 했던 업체들이 원천적으로 기회를 차단당하고 있다.
기존 납품업체들로서는 힘겨운 입찰경쟁을 치르지 않아도 돼, 정유사의 뜻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대가로 납품단가가 불리하게 조정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계약 연장은 정유사가 계약조건을 유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며 "또 신규 업체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공정한 시장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오는 중순에도 2곳의 정유사가 재입찰을 치를 예정이다. 최근 2개 업체가 새로 진입한 가운데, 이번에도 계약 연장이 이뤄진다면 이들 업체의 피해가 우려된다. 정부가 바이오디젤 납품계약 연장행위에 문제가 없는지 관심을 가질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