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해운업 지원 1000억원 없던 일로…" 한·중 금융당국 엇갈린 행보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글로벌 해운업계가 불황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당수 선사들은 운임하락과 고유가로 인한 실적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각국 정부는 국가기간산업인 해운업을 보호하기 자국 선사 유동성에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중국은 대규모 자금을 풀어 자국 선사보호에 팔을 걷어 붙였다.

국내 금융당국은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자금 지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세계 5위 해운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공자위, 캠코 '선박펀드자금' 승인 거부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는 한국자선관리공사(캠코)가 올해 해운업계에 배정한 선박펀드자금 1000억원에 대해 승인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자위가 이번 선박펀드자금 승인을 거부한 이유는 해운시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 공자위의 이같은 판단은 선사들의 주가 상승과 운임인상에서 비롯됐다.

국내 대표선사인 한진해운 주가는 연초대비 33.53% 상승했다. 또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컨테이너 선사들은 이달부터 주요 노선의 운임을 2배 가까이 올렸다.

해운업계는 "공자위가 업계 실상을 모르고 섣부른 판단을 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운임 인상에도 불구하고 고유가로 인해 운항원가 상승하면서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어렵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아시아-유럽항로의 경우 손익분기점은 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당 1100달러 수준. 고유가로 인해 2009년 대비 40% 가량 상승했다. 이달부터 오른 운임은 TEU당 1300달러다.

손익분기점보다 약 200달러 높은수준이지만, 지난해 적자폭과 운영자금을 위한 대규모 회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을 감안하면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대형 선사 관계자는 "지난해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의 적자 규모는 50억 달러로 추정된다"며 "운임이 상승했다는 이유로 해운시황이 회복됐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국내 10대 선사의 올해 상반기 만기도래 부채는 5조1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상반기 상환해하는 회사채가 1조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가도 마찬가지다. 운임인상 등으로 업황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아직은 조심스러운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정윤진 교보증권 연구원은 "운임인상 성공 이후 한진해운 주가는 조정구간에 진입했다"며 "운임인상 시도의 성공가능성에 대한 조심스러운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선사 자금 조달에 부정적 영향"

선사들은 이번 공자위 결정보다 후폭풍을 걱정하는 눈치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약 3조원 규모의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P-CBO란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에 대해 신용보증기금에서 보증을 서 신용도를 높인 증권을 말하다. 기업은 이를 시장에 매각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공자위 등 금융당국이 해운시황이 호전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만큼 P-CBO의 발행은 더욱 어려워 질 수 있다"고 전했다.

금융위원회 등은 다른 산업과의 형평성 문제와 리스크 관리의 어려움, 선사와 금융권간의 협의사항이라는 이유로 선사들의 P-CBO 발행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中, 자국선사 유동성 지원 총력

반면 중국 정부는 자국 선사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수출입은행이 최근 향후 5년 동안 코스코와 차이나쉬핑에 95억 달러를 지원하는 전략적 협력관계를 체결했다.

한국선주협회 관계자는 "중국은 2009년부터 자국 해운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중국수출입은행·중국수출신용보험공사 등을 통해 선박금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