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 전대서 모바일ㆍ현장 '이중투표' 의혹 제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6-12 18: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민주통합당의 지난 6ㆍ9 전당대회에서 모바일과 현장투표를 모두 실시하며 '이중투표'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통합당의 한 당원이 지난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당비납부 당원) 자격으로 모바일투표에 참여한 뒤 이어 9일에는 일산 킨텍스 전당대회 현장에서는 당에서 새로 도입한 정책대의원 자격으로 또다시 한표를 행사했다고 민주통합당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복수의 언론에 전했다.
 
 이번 전대에서는 대의원투표가 30%, 권리당원과 당원, 시민선거인단의 모바일 및 현장투표가 70% 반영됐는데, 정책대의원은 권리당원을 겸할 수 없다.
 
 정책대의원은 한국노총과 국민의명령 백만민란, 내가꿈꾸는나라 등의 시민사회단체 인사 2600여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중투표 의혹을 받고 있는 당원은 친노(친노무현) 성향이 강한 국민의명령 백만민란 소속으로 알려졌다.
 
 이에 민주통합당은 기자회견을 열고 사태 진화에 나섰다.
 
 강정구 사무부총장은 “각 조직에서 정책대의원 신청자를 보내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컴퓨터에 같이 넣어 중복자를 가려냈다”며 “해당자의 주민번호 끝에 두자리가 다르게 기재돼 중복자로 나오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강 부총장은 “본인이 두번 투표했다고 증언하고 있으니 그럴 확률이 있다”며 “그러나 지금까지 다른 사례가 발견된 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자의 과실인지 실무자 오류인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컴퓨터에 넣어도 나오지 않는 걸 어떻게 하나”라며 “선거인단 중에 계속 기록을 보관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은 분에 대해서는 파기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중투표 논란이 단순한 실무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이중투표를 한 유권자가 한명이라는 보장이 없어 공정성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게다가 이번 선거에서는 이해찬 대표와 김한길 최고위원의 총득표수 차이는 1471표(0.5%포인트)에 불과할 정도로 박빙의 승부가 진행됐다.
 
 민주당은 모바일투표 도입을 최대 자랑으로 내세워 왔지만 지난 19대 총선 후보자 경선 과정에 이어 이번 전대에서도 또다시 문제점이 드러나 모바일투표의 신뢰성도 심대한 타격을 입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