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회계검사를 비롯해 조직내부 근무기강을 바로잡는 등 고유업무 외에도 경영오류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상부기관에 수시로 보고해야 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사실상 조직의 ‘넘버2’인 셈이다.
최근 기획재정부가 밝힌 공기업 상임감사의 직무수행실적 결과를 보면 평가 대상자 59명중 절반이 넘는 31명이 C등급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표라고 하기엔 너무 초라할 뿐이다. 직무수행 실적은 S등급부터 E등급까지 총 6단계로 매겨지며, 감사의 전문성·독립성·윤리성과 기관 경영평가 결과 등이 반영된다.
이번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인 S등급을 받은 상임감사는 1명도 없었고 A등급은 9명, B등급은 19명에 그쳤다.
그간 공기업 감사자리는 속칭 ‘꽃 보직’으로 통했다. 높은 연봉을 받지만 하는 일은 직원들의 비리나 품위 훼손 등을 지적하는 게 고작이고, 그나마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덮는데 급급했다.
이는 집권당의 전리품쯤으로 간주되면서 정치권에서 기웃거리던 사람이나 정부 퇴직 관리들의 자리보전용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자체 감사가 부실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를 지닌 셈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기업 감사의 경우 2008년부터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감사의 업무추진실적이 추가되고, 매년 개인업무실적 평가 등이 이뤄지고 있다.
해당 기관과 기관장(CEO)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감사위원도 이처럼 평가를 받게 됨에 따라 유명무실 자리만 지킬 수가 없게 된 것이다. 또 수시로 감사원, 기획재정부 그리고 관할 부처의 업무 감사와 국무총리실 등 감찰기관의 지도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기업 감사는 보은성 자리라는 태생적 한계 때문에 이들의 성적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공기업들의 방만경영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정부는 매년 공공부문 자체(내부)감사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바꾸겠다고 밝혔왔지만 공염불에 그친 느낌이다.
지난해 공기업 전체의 평균 연봉은 7100만원으로 작년에 10조원 이상 매출을 올린 25개 민간 대기업 평균 연봉을 넘어설 정도다.
비단 공기업뿐만 아니라 매사가 그렇듯 감시와 견제가 없으면 비효율과 방만경영을 초래하기 십상인 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