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대표는 전날 비박(비박근혜) 주자 가운데 처음으로 이재오 의원을 만난데 이어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임 전 실장과 회동했다. 임 전 실장은 면담 직전 기자회견에서 제안한 ‘절충안’대로 “대의원과 당원 선거인단을 50만명으로 확대하고, 1위와 2위 후보자에 대해 결선투표를 도입해야 한다”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임 전 실장과는 달리 황 대표에게 국민 100%의 선거인단으로 대선주자를 선출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의 도입을 강하게 요구했다. 김영우 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두 사람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 당의 화합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동감했다”면서 “김 지사는 경선 룰 협의기구를 대표 산하의 직속기구로 설치해줄 것을 제안했고, 황 대표는 ‘열린 마음으로 임하겠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앞서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지금 대선예비후보 등록을 할 생각이 없다“며 “지금 상황에서 무슨 후보 등록을 해 무슨 경선이 가능하느냐”고 날을 세웠다.
이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황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 중심의 지도부를 겨냥, “요즘 새누리당의 가장 문제는 누구의 마음, 심기를 살피고 받들어 모신다는 것”이라며 “언제부터 우리 당이 이렇게 됐는가”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편, 정몽준 전 대표는 “현 상태에서 황우여 대표가 ‘공정한 경선관리인’이라는데 약간의 의구심을 갖고 있다”며 황 대표와의 회동을 거부했다.
정 전 대표는 과학기술 분야 공약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경선 룰 갈등과 관련된 질문에 “어제 황 대표와의 전화 통화에서 황 대표를 따로 만날 필요가 없다고 말씀드렸다”면서 “당 대표가 공정하지 못하다는 의구심을 받고 있는데 자꾸 ‘예비후보등록을 하라’고 하는데 그것은 후보 본인이 판단할 사안”이라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