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는 2011년 12월29일 국토해양부로 ▲우리시가 약 1,000여억원을 투자하여 건설한 강매~원흥도로(권율대로) 차단불가 ▲고양시민의 행신IC 우회 및 행신IC~자유로 연결로상 통행료 부담 절대불가 ▲봉대산, 결달산, 국사봉등 임야 훼손 최소화 ▲주거환경 악화 및 생활권 단절 심각, 최소화 및 피해주민 지원강구 ▲사리현IC 설치 및 운영방안 재검토 등을 요청했다.
그러나 최근 환경영향평가에서 이 도로가 5000가구의 고양 행신2지구(서정마을)을 지나지만 대기·소음·진동 조사 표본에서 누락됐다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되었고 사업타당성 조사에도 문제점이 있다는 주장도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성시장은 “현)서울~문산 고속도로 계획은 시간이 갈수록 전형적인 민간투자방식의 병폐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양시민의 주거환경과 자연환경을 심각하게 파괴 할 우려가 높다”고 주장하고 조만간 국토부와 기획재정부에 서울~문산 고속도로 사업 문제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문제개선을 다시금 촉구하기로 했다.
최시장은 중앙정부의 철저한 검증과 문제개선을 촉구하는 한편 “고양시가 사업자와 정부의 검증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서울~문산 간 고속도로가 고양시에 미치는 피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합리적인 방안을 수립해야한다”고 본 용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그 동안 고양시의 서울시 기피시설, 신곡수중보 이전,식사지구 환경유해시설 이전 등 고양시에 피해를 주는 사업들에 대해 철저한 검증과 분석 및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문제를 해결해 왔고 이번 전문가 용역도 고양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