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사태 이후 최대 악재로 꼽히고 있는 유로존 위기 타개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다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인한 물류대란까지 우려되는 상황이어서 국내 기업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가 이날부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무기한 운송거부에 들어갔다. 화물연대 총파업은 2009년 이후 3년 만이다.
파업이 장기화되면 지난 2003년과 2008년 화물연대 파업에 이은 세 번째 물류대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파업이 당장 물류대란으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사태 장기화 등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내 전자·자동차 부문 주요 수출기업은 지난 2008년 물류대란으로 적잖은 손실을 입은 경험이 있다. 파업 첫 날인 만큼 당장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상황을 예의주시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전자업계는 타 운송수단 대체로 인해 단기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난 2008년 물류대란 같은 장기화에 대비해 비노조 차량을 최대한 확보하되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잔업 조정이나 물량 조절 등의 방안을 조심스럽게 검토 중이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업계도 파업이 현실화되자 제품 운송 등 대응책 마련에 부심 중이다.
화물연대 조합원 차량 비율이 높은 철강 유통업체와 중소 철강업체의 경우 당장 그 피해를 떠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멘트와 레미콘 업계도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수송차량 잡기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재계단체는 일제히 노동계의 파업 강행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전국경제인연합(전경련)은 이날 ‘화물연대 총파업에 대한 경제계 입장’이라는 논평을 통해 “이번 파업으로 인해 생산차질과 수출입 수송지연에 따른 기업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예상될 뿐만아니라 근로자들의 고용 불안이 우려된다”며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지 않는다면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경종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도 이날 화물연대의 파업과 관련, “최근 유럽발 재정위기의 여파로 국내외 경제사정이 어려운 가운데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는 경제회복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며 “ 특히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은 수출 등 산업물류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 심대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