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국 16개 시도 생산가능인구 감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6-27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40년엔 50대가 인구 주축..2040년 경제인구 100명이 노인 57명 부양<br/>시도별 인구규모 경기, 서울, 경남, 부산 順..2020년 이후 인구수 경남 > 부산<br/>통계청 ‘2010-2040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발표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출산율 감소와 기대수명 연장으로 오는 2020년 전국의 모든 시도에서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할 전망이다.

또 노령화로 인해 2040년에는 전국 평균연령이 현재 37.9세에서 52.6세로 높아지고, 65세 이상 고령자가 3명중 1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예상됐다.

27일 통계청은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2010-2040년까지의 ‘시도별 장래인구추계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10년 현재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3598명(72.8%)에서 2016년 3704만명(72.9%)을 정점으로 감소하다가 2040년 2887만명(56.5%)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계됐다.

통계청은 저출산 고령화로 자연증가에 의한 인구성장이 줄어들면서 인구이동에 의한 사회적 증가가 향후 30년간 지역별 인구성장률 변화에 주요 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가능인구, 내년까지 부산 등 6개 시도서 감소

시도별 15-64세 생산가능인구의 성장률은 2010년 현재 서울, 부산, 전남이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2013년 대구, 전북, 경북 6개 지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17년에는 울산, 강원, 광주, 대전, 경남이, 2018년 제주와 충북, 2019년 인천, 2020년에는 전국의 모든 시도에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30년간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율이 가장 큰 시도는 부산(-36.7)%과 대구(-31.4)%로 낮은 출산율로 인해 2040년까지 생산가능인구가 급감하는 것으로 나왔다.

반면 경기의 생산가능인구는 2040년까지 7.9%(-67만명) 감소해 16개 시도 중 생산가능인구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65세이상 고령인구는 2040년 도지역(경기 제외) 및 부산에서 전체 인구 3명중 1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추계됐다. 85세이상 초고령인구도 2010년 37만명에서 2040년 4.6배 증가해 208만명(2010년 충남인구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베이비부머가 65세 이상 고령인구에 진입하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고령인구 비중이 전국적으로 8.6%포인트 가량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으로 인해 0-14세 유소년 인구는 2015년까지 전국적으로 93만6000명이 줄어들고, 수도권 39만명(41.6%), 영남권 29만명(31.1%)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됐다.

◇중위연령, 2040년 전남 60세 넘어..3명중 1명은 65세 고령자

출생아수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전국적으로 중위연령이 높아져, 2010년 37.9세에서 2040년 52.6세로 향후 30년간 14.7세 높아질 전망이다.

2010년 시도별 중위연령은 전남이 43.3세로 가장 높고, 경북, 강원, 전북, 부산이 모두 40세를 넘어섰다. 2010년 가장 젊은 지역은 중위연령이 35세인 광주와 대전이다.

2040년 시도별 중위연령은 전남이 60세를 넘어서고, 경북, 강원, 전북, 부산, 충남의 중위연령이 55세를 넘어설 전망이다.

향후 30년간 중위연령이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시도는 강원과 경북으로 모두 17세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왔다. 2040년에 중위연령이 50세 이하인 지역은 광주, 대전, 경기뿐이며,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증가폭이 적지만, 30년간 3개 지역 모두 13세 이상 높아질 전망이다.

한편, 2040년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인구(유소년 및 고령자)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0년 전국 평균 37.3명(유소년 22.2명, 노인 15.2명)에서 2040년 77명(유소년 19.8명, 노인 57.2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40년에 이르면 전남의 노년부양비가 88.8명으로 가장 높고 경북, 전북, 강원도 75명 수준을 넘어 이 지역들은 생산가능인구 4명당 고령인구 3명 이상을 부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40년 중부·수도권 인구↑, 영·호남 ↓

최근의 시도별 인구성장 추세가 지속된다면, 2040년에는 수도권과 중부권 인구는 2010년 보다 각각 192만명(7.9%)과 65만명(9.8%) 늘고, 영남권은 76만명(-5.9%) 호남권은 13만명(-2.3%) 가량 감소할 전망이다.

2010년 현재 시도별 인구규모는 경기와 서울, 부산, 경남 순으로 많으나, 2020년 이후부터 경남인구가 부산인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경기인구는 2010년 1158만명(총인구의 23.4%)에서 늘어 2035년경 1345만명(25.9%) 수준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서울인구는 2010년 1005만명(총인구의 20.3%)에서 연도별 등락을 보이면서 성장해 2025년경 1021만명(19.7%) 수준을 정점으로 감소, 2040년에는 992만명(19.4%)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부산과 대구의 인구는 2010년 대비 2040년까지 각각 13.0%(-45만명), 10.2%(-25만명)씩 감소하는 반면 충남과 경기는 각각 16.0%(33만명), 14.9%(172만명)씩 증가할 전망이다.

2010-2015년 사이 전남과 강원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자연증가가 시작되고, 2035-2040년에는 16개 시도 모두 마이너스 자연증가를 보일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