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6일 박원순 시장을 비롯 시장단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회의를 열고 강남역 주변 고지대에서 흐르는 빗물이 반포천으로 바로 이어지도록 신규 하수관거를 만들어 한강에 신속히 물이 흐르도록 하는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회의에는 강남역 주변의 피해상황 외에도 길동과 신월동을 비롯 34개 침수 위험지역 종합관리계획도 점검했다.
강남역 일대는 인근 논현동·역삼동 등에 비해서 고도가 17m 이상 낮은 상습침수 지역이다. 이에 시는 올해 우기 전 이 일대 대상 빗물받이 22개를 신설하고 병목구간 하수관거 또한 262m 가량 확장했다.
덕분에 대규모 주택가 침수는 없었지만 2010년과 2011년에 이어서 15일 또한 도로 빗물이 무릎까지 차오를 정도로 잠겨 차량과 보행자 통행에 많은 지장과 불편을 초래했다.
이번 계획은 당초 계획된 대심도 터널과 달리 자연유하방식에 따른 것이다. 또한 ▲교대역~고속터미널 구간 관거 매설(지름 7m, 길이 900m) ▲서초빗물펌프장 증설 ▲용허리공원 저류조 신설(1만5000톤 규모) 방안도 포함됐다.
당초 1317억원을 들여 빗물을 한강으로 직방류할 대심도 터널을 만드는 방안과 1700억원을 투입해 주변 부지를 매입해서 반포천 복개구간 단면을 넓혀 통수율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됐다. 하지만 재정 여건상 607억원이 투입될 관거 분산형 방식으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시장은 이날 회의에 참석해 "가용재원에 한계가 있고 공사기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꼭 특정 지역에만 먼저 돈을 다 투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34개 위험지역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결정해야한다"고 발언했다.
이어 "도로가 일부 잠기는 것은 문제지만 양천, 사당, 신월동 등지의 주택가 침수를 막아서 인명피해가 없도록 하는 것부터 신경써야 하지 않겠느냐"고 우선순위를 정했다.
박 시장은 이날 트위터서도 "서울이 시간당 30㎜ 정도의 비에 견디도록 (침수방지시설이) 설계돼 50㎜ 이상으로 개선해야 한다.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지만 한두 해에 다 해결할 수는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시는 강남역 일대 하수관거 분산 공사도 대략 2~3년이 걸릴 것으로 잠정 추정되는 만큼 완공될 때까지는 빗물받이를 증설해서 임시로 투수층을 늘려가기로 조치한다. 또한 시는 다음주 중 사방천 및 도림천 등 침수될 위험이 높은 6곳의 치수 대책을 발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