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절대가치와 상대가치

이홍규 현대증권 광산지점 지점장
삼성전자, 현대기아차, LG전자 등 한국 대표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수년 사이 비약적으로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삼성전자만 해도 2007년 대비 매출은 약 2배, 영업이익은 3배 정도 높아졌다. 주목할 점은 1997년의 외환위기와 2008년의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오히려 실적은 더 좋아졌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환율효과 덕분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보다는 기업들의 기초체력이 한 단계 높아지고 DNA가 달라졌다는 진단이 더 유효한 듯하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존재논리라는 것이 있다. 그리고 이 존재논리는 스스로 처한 상황을 대변하며 더 나아가 자신의 행동이나 사상을 규정하는 프레임으로 작동한다. 또한 조직 혹은 기업문화에 직접적으로 투영돼 끝내 그 기업의 명운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기도 한다.

애플이 이미 막강한 도전자들이 즐비한 휴대전화 시장에 처음 아이폰을 선보였을 때를 떠올려보자. 보통의 경우 뒤늦게 경쟁에 뛰어드는 후발주자들은 자신의 제품이 경쟁자들의 제품과 어떻게 다른지 집중 설명한다.

경쟁제품보다 조금 나은 ‘상대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반면 애플은 소비자들조차 그 필요성을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있던 새로운 기능과 편의성을 집중 노출하며 새로운 고객층을 창출한다.

이것은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애플의 대답이며, 그 대답을 도출하기 위해 절대가치에 천착한 결과다.

모방에서 창조. 모방은 상대가치고 창조는 절대가치다.

상대가치를 추구할 경우 그 기업은 경쟁자를 줄곧 따라가기만 할 뿐 1등이 될 수 없다. 반면 절대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은 반드시 1등이 될 수 있다.

경쟁자를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이유를 묻고 고객 가치 창조라는 근본적인 명제를 고민하기 때문이다. 출발점이 다를 경우 도착점 역시 달라지게 된다. 우리 기업들은 이 부분에서 과거와 뚜렷하게 다른 가치관을 추구하게 됐고 그 결과가 글로벌 초우량 기업으로의 눈부신 약진인 것이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수많은 기업들을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분석해 봐야만 한다. 그 조직이 상대가치에 함몰돼 있는지 혹은 절대가치를 추구하고 있는지 살펴볼 때 비로소 그 기업의 성장가능성과 투자 성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