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S칼텍스의 진주 복합수지공장 조감도. |
복합수지는 자동차 및 가전 부품의 원재료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능성 플라스틱이다. 국내 정유사 중 생산시설을 보유한 회사는 GS칼텍스가 유일하다. GS칼텍스는 현재 해외 생산시설을 포함해 국내 최고 수준인 총 15만4000t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26만t으로 생산능력을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GS칼텍스는 21일 오전 경남 진주시 지수면 압사리 현지에서 최첨단 복합수지 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이날 기공식에는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을 비롯한 회사관계자와 이창희 진주시장, 김재경 국회의원, 지역주민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허동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대기업으로서 최초로 GS칼텍스가 산업기반 시설을 설립함으로써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진주가 전통 문화와 미래 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남부권 중심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진주시 지수면 일반산단내 12만2000㎡에 건립될 이 공장은 자동차와 가전제품의 부품제조에 사용되는 특수 폴리머 생산 공장으로 내년 9월까지 1단계 4만t 규모의 생산설비가 우선 설립 되고, 나머지는 오는 2015년 기계적 준공을 거쳐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진주공장에 중국 공장과 체코 공장 등 해외 시공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최신 설비와 최첨단 기술을 적용한 최적화된 공정라인을 설치할 계획이며, 향후 국내 복합수지 생산 중심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진주공장은 2단계가 마무리되는 2015년 이후 200명의 고용창출과 약 25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GS칼텍스는 현재 국내 생산된 복합수지를 현대∙기아자동차와 르노삼성차, 한국지엠, 도요타 등 국내외 자동차 회사와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가전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과 체코 등 해외에 연간 총 14만t 규모의 복합수지 설비를 갖춰 놓고 있어 국내외에서 도합 26만t의 생산 능력을 갖추는 등 국내 업계 최고로 발돋움하게 될 전망이다.
GS칼텍스는 지난 2006년 중국 랑팡에 GS칼텍스 소료유한공사를 설립해 연간 5만t 규모의 복합수지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해 10월 쑤저우에 연산 4만t 규모의 제2공장을 설립하는 등 중국에서 총 9만t의 복합수지를 생산해 현대∙기아차, LG전자 등 국내 진출업체는 물론 하이얼전자, 폭스바겐, 장성자동차 등 현지 업체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1년 6월 한국기업 최초로 유럽지역인 체코에 복합수지사업을 진출해 연산 3만t 규모의 생산시설 가동을 앞두고 있는 등 글로벌 복합수지 제조기업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향후 유럽의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으로 거래선을 더욱 넓힐 계획이다.
GS칼텍스 관계자는 “GS칼텍스는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로 글로벌 자동차 및 가전업체에 부품을 공급함으로써 동반 성장을 통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다”며 “중국, 동유럽에 이어 향후 북미와 남미, 동남아 지역으로 진출을 검토하는 등 해외사업 규모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