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준 KIST 박사 |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비신경세포의 글루타메이트(흥분성 신경전달물질) 분비 메카니즘을 밝혀냈다.
이로써 향후 우울증 등 정신질환 및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전망이다.
28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는 'WCI 기능커넥토믹스센터' 이창준 박사팀·경상대 박재용 교수팀 및 경북대 배용철 교수팀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 내용이 세계적인 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셀(Cell)'지 최신호(9.28일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인간의 중추신경계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한다.
주요 흥분성 신경 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친화력이 높은 여러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와 결합해 활성화시킴으로써, 신경계의 흥분성과 억제성이 균형을 유지한다.
반면 신경계의 흥분성과 억제성이 불균형을 이루면 우울증·운동성 소실 등의 이상 증상을 보일 수 있고, 학습·기억 및 운동조절 능력 등 인체의 기본적인 기능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신경세포와 비신경세포의 글루타메이트 분비이상이 여러 가지 정신질환과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된 바 있으나, 비 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의 글루타메이트 분비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명된 바가 없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전기생리학적 실험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성상교세포의 글루타메이트가 서로 다른 두가지 이동통로인 트렉과 베스트로핀을 통해서 빠르고 느린 두가지 형태로 분비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이창준 박사와 박재용 교수는 "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의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분자적 분비 메카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함으로써 성상교세포의 새로운 기능을 밝히고, 중추신경계의 흥분성과 억제성의 불균형으로 인해 유발되는 신경계 질환 및 질병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