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 수 2만 명 시대..폐경 후 유방암 환자 수 급증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국내 유방암 발생 환자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낮았던 50~60개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환자수가 증가하며, 연간 유방암 환자 수 2만 명 시대 도래가 예상된다.

한국유방암학회는 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2012 한국 여성 유방암 백서'를 발표했다.

백서에 따르면, 지난 15년 간 연간 유방암 환자 발생률은 1996년 3801명에서 2010년 1만 6398명으로 4배 이상 늘었다. 최근 2년 사이(2008~2010)에도 2500여 명의 환자가 더 발생했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하는 암환자수를 의미하는 조발생률 역시 같은 기간 16.7에서 67.2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연령별 발생자 수는 40대가 37%로 가장 높았다. 40대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 발생 비율은 과반수 이상인 51.2%를 기록했다.


학회는 50~60대 환자의 비중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특히 주목했다. 50~60대의 발생 환자 수는 40대에 비해 적었지만, 발생 증가율은 오히려 높았다.

2006년 25.7%였던 50대 환자 발생 비율은 2010년 29.1%로 상승했으며, 60대 환자의 발생 비율도 13%에서 14%로 증가했다. 폐경 후 유방암 발병 비율이 1996년에는 39.1%였던 것에 비해, 2010년에는 48.7%로 상승했다. 유방암 발병 중간 나이도 기존 46세에서 49세로 높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40대 환자의 발생 비율은 40%에서 37%로, 30대 환자 비율 역시 14.3%에서 12.7%로 줄었다

김성용 순천향대 교수는 "미국 등 서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유방암 발병 비율이 높다"며 "우리나라도 식생활의 변화·고령출산·조기초경 등 환경변화로 인해 고연령 환자발생이 증가 추세" 라고 설명했다.

여성 유방암 발생 증가율과 관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2002년에 비해 2008년 1.9배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또 보건복지부와 통계청 집계에 따르면 한국 여성이 평균 수명인 84세까지 25명중 1명꼴로 유방암이 발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좋은 소식도 있다.

유방암 환자 급증 추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조기(0~1기) 발견율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2010년에 2~4기 진행성 유방암 진단율이 처음으로 50% 미만인 47.5%로 줄었다. 1996년의 경우 2~4기 진행성 유방암이 전체의 76.2%에 달했다.

증상 없이 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진단받는 비율도 1996년 6.4%에서 2010년에는 32.7%로 5배 이상 높아졌다. 유방을 보존하는 부분 절제술 비율이 크게 상승하는 대신 유방 절제술 비율은 크게 낮아졌다.

박찬흔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은 "40대 젊은 유방암 환자 수가 여전히 많지만, 최근에는 50대 이상 연령대에서도 동반 증가하는 서구형 유방암의 특징을 보인다"며 "낮아진 출산율과 모유수유 등 유방암 발병 위험 인자 보유 비율이 높아진 것이 장년층 유방암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