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경쟁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를 자제해 온 그동안의 전략을 전환한 것이어서 지지율 정체를 만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새누리당은 24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 대해서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관련 문건 폐기 문제와 문 후보 아들의 특혜채용 의혹을 제기하며 공세를 폈다.
당은 이날 ‘민주당 정부의 영토주권 포기 등 대북게이트 진상조사특별위원회’의 명칭을 ‘민주당 정부의 영토주권 포기 및 역사 폐기 등 진상조사특별위원회’로 바꾸고 ‘문재인 책임론’을 집중 제기했다.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문 후보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있을 당시 NLL과 관련된 문건이 만들어졌고 이를 폐기했다는 문제에 대해 반드시 답을 해야 한다”며 “새누리당은 국가정보원 국감 등을 통해 NLL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날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성태·김상민·서용교·이완영·이종훈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 후보의 아들이 2006년 한국고용정보원에 입사하는 과정에서 필수 서류인 학력증명서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았음에도 합격했다”며 청문회 개최 등을 요구했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에 대해선 사상 검증 및 부인 김미경 씨의 서울대 특혜채용 문제를 거론했다.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선대본부회의에서 “안 후보가 대선의 가장 중요한 쟁점인 복지에 대해 위험하고 비현실적인 얘기 두 가지를 했다”면서 “저서 ‘안철수의 생각’에서 복지 확충 재원에 대해 ‘능력대로 내고 필요한 만큼 쓰자’는 식의 대답을 했는데 이는 마르크스가 공산주의를 주창하며 사용한 슬로건”이라고 비판했다.
김 본부장은 또 “안 후보 부부의 서울대 교수 임용은 ‘끼워팔기식’으로 보인다”면서 “엄청난 특혜로 부부가 교수로 채용됐는데 안 후보가 대선에 출마할 것이었으면 서울대의 스카우트 제의를 거부했어야 옳다”고 지적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안랩(옛 안철수연구소) 등 특정인의 인기 때문에 주가가 오를 경우 일정기간 동안 주식을 팔지 못하도록 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일명 안철수법)을 내겠다”고 발표했다.
회견에서 박민식·유일호·조원진·강석훈 의원 등은 “지난해 초 2만원 안팎이었던 안랩 주가는 현재 반토막 나서 시가총액이 1조 원가량 증발해버렸다”면서 “박 의원은 “테마주가 급등할 때 대주주는 일정기간 동안 주식을 처분하지 못 하도록 일명 ‘안철수법’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