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카드업계가 대형가맹점의 카드수수료 인상을 두고 본격 협상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카드사들은 최소한 한 달 전에 수수료 변경안을 가맹점에 통보해야 하기 때문에, 수수료 체계 개편안이 적용되기 한 달 전인 11월 22일까지는 협상을 마무리 지어야 하는 상황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카드업계와 대형가맹점의 실무진들이 최근 수수료 인상안을 두고 본격 협상에 나섰다.
다만 업계 차원에서 대형가맹점들과 일괄적으로 수수료 인상에 나설 경우 담합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카드사들은 현재 개별적으로 각 대형가맹점과의 협상을 진행 중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자영업자 등 영세가맹점들의 수수료율을 1.5%로 인하하고, 이에 대한 여력을 대형가맹점 수수료 인상으로 확보할 것을 지시했다. 대형가맹점의 수수료 인상이 물거품이 될 경우, 카드사들은 연간 1조원이 넘는 수익 감소를 감당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렇다할 성과는 없다. 지난 4월 수수료 체계 개편안이 발표된 후 6개월이 지났지만, 수수료 인상에 합의한 대형가맹점은 아직까지 전무한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개별적으로 각 대형가맹점들과 접촉을 하다 보니 협상이 쉽지 않다”며 “(대형가맹점은) 수수료 수익 감소가 카드사들이 감내할 수 있을 수준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형가맹점은 정부의 방향이 정해진 만큼, 이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입장을 표명할 만한 단계는 아니다”면서도 “우리도 기업이기 때문에 무작정 손실을 감당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큰 가닥은 잡아줬지만 아직까지 적극적인 액션이 없어 카드사들이 애를 먹고 있다”며 “우리 입장에서는 생존이 달린 문제이기 때문에 인상이 필수”라고 말했다.
반면 금융당국은 오히려 카드사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문제 삼고 있다. 카드사들이 여전히 대형가맹점의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현재 당국도 대형가맹점 수수료 문제를 파악 중이지만, 실질적으로 시장가격에 직접 개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합리적인 수수료 체계가 만들어졌으면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카드사들이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데, 여전히 ‘을’의 입장에서 ‘슈퍼갑’의 눈치만 보고 있으니 진전이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