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는 6일 여의도 당사에서 정치쇄신안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개헌 문제와 관련, "대통령 선거용의 정략적 접근이나 내용과 결론을 미리 정해놓은 시한부 추진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집권 후 4년 중임제와 국민의 생존권적 기본권 강화 등을 포함한 여러 과제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해서 국민의 삶에 도움이 되는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박 후보는 전날 '개헌 문제가 초점이 아니다'라며 부정적인 입장이었으나, 이날 연설문 말미에 이 같은 내용을 언급했다.
'단일화 블랙홀' 정국에서 개헌을 빼면 정치쇄신안의 폭발력이 떨어진다는 당 안팎의 평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는 그러면서 가장 민감한 사안인 차기 대통령 임기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는 가정 하에 본인의 임기를 1년 8개월 정도를 줄여야 하는 문제를 과제로 남겨둔 것이다.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은 이어 보충 브리핑에서 '쇄신안 중 불체포 특권 등은 어차피 개헌이 돼야 실현 가능한데 개헌 시한을 정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해석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정략적, 선거용이 아니라 결국 국민이 원한다는 것"이라며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안 위원장은 대통령 임기 축소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도 "제가 답변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박 후보 캠프 측은 경제민주화 정책 등 릴레이 정책발표로 단일화 국면에 '정책선거'로 정면 돌파를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이정현 공보단장은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치쇄신안은 누구나 낼 수 있지만 지금까지 지켜봤을 때 누가 그것을 실천하느냐가 중요한 포인트"라며 "실천 의지를 보여서 입증하고 검증했던 사람은 박 후보 단 한 명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박 후보의 정치쇄신안이 단일화에 맞서기에는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 후보의 '러닝메이트' 격인 홍준표 경남도지사 후보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화두를 옮겨줄 파괴력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밋밋한 전략을 구사해 힘들다고 본다"며 "선거전략을 이대로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홍 후보는 '여성 대통령론'에 대해서도 "새로운 화두가 아니다"라며 "한번 전면에 내세우면 끝인데 저는 (여성 대통령론이) 야권단일화 카드를 돌파할 수 있는 그런 파괴적인 카드라고 보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