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이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
교육과학기술부는 조이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가 신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iPS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iPS는 사람의 성체 세포에 역분화 인자를 집어넣어 만드는 역분화 줄기세포로 배아줄기세포처럼 세포 증식·분화가 잘되는 것이 특징이나 제작과정에 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암 유발이나 세포 기능이 변화할 가능성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바이러스 시스템의 대안으로 저분자 화합물, 단백질, RNA(유전정보전달물질) 등을 주입하는 역분화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존 제작법에 비해 iPS 제작 효율이 떨어졌다.
연구팀은 신규 저분자 화합물인 RSC133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안전한 iPS를 효과적으로 제작했으며 역분화 과정에서 RSC133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했다.
실험결과 RSC133이 역분화 유도에 유리한 세포 환경을 제공하며 3개 배엽층 가운데 어느 것으로나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 대량배양에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조 박사는 “현행 역분화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해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