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1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제10차 새만금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새만금 생태환경용지 개발기본계획'을 심의, 확정했다.
새만금 생태환경용지 개발기본계획은 새만금 개발면적의 18%에 해당하는 50.2㎢의 면적에 생태환경용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2016년부터 2040년까지 1조1511억원을 투입해 3단계로 진행된다.
정부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세부계획을 수립한 뒤 2016년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새만금 생태환경용지는 크게 세 개의 권역으로 나뉘어 조성된다.
물길 생태습지와 새만금 조망원, 야생동물 서식지 등이 들어서는 북부권역은 '생태의 장'으로 개발된다. 또 물환경연구원과 새만금 체험원 등이 들어서는 복합도시 북측 권역은 '인간과 자연 공생의 장'으로, 국제생태환경 체험원과 자연 생태섬 등이 들어서는 복합도시 남측 권역은 '대자연 체험ㆍ교육의 장'으로 개발된다.
특히 생태환경용지 대부분을 수로와 습지 중심으로 조성해 수질 정화에 생태개념을 도입하고, 대규모 철새와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세계적 대자연 체험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도시 인근에는 도시숲과 자연 테마공원 등을 만들 예정이다.
김 총리는 회의에서 "새만금이 우리나라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기지가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현 정부는 물론 다음 정부에서도 정부 지원이 계획대로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