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인크루트(대표 이광석)가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275명을 대상으로 주말근무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거의 매주’ 주말근무를 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21.1%였다. ‘격주에 한 번’(15.3%)이라는 대답 역시 상당수였다.
5일 근무제가 정착된 만큼 ‘주말근무를 하지 않는다’(27.6%)라는 답변도 많았지만, 2주에 한 번 이상 주말근무를 하는 직장인이 36.4%에 달하는 것. 그밖에 ‘5주 이상 가끔’(16.0%), ‘3주에 한 번’(10.2%) ‘4주에 한 번’(9.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주말근무를 한다고 답한 199명에게 주말근무를 하는 가장 큰 이유를 묻자, ‘주중 업무가 과중해서’(26.6%)가 첫 손에 꼽혔다. 평소 처리해야 할 업무량이 과중하다는 것. ‘비정기적인 프로젝트 때문에’(23.6%) 어쩔 수 없이 한다는 이들도 다수였다.
또 ‘회사 및 팀 내에 주말근무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어서’(21.6%) 상사가 암묵적으로 주말근무를 강요해서‘(16.1%) 등 타의로 인해 주말근무를 한다고 밝힌 직장인도 많았다. 그 외에 '업무 특성상'(4.5%) ‘근무 평가 및 평판 유지를 위해서‘(3.5%) ’주말에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2.0%) 라는 의견도 소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주말근무로 인한 후유증을 호소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가족, 친구관의 관계 소홀’(34.2%)이었다. 또 ‘정신적 스트레스’(32.2%) ‘육체적 건강 저해’(15.6%) ‘평일 업무 집중 저해’(9.0%) 기타(1.5%)순이었다. ‘별 다른 후유증 없다’는 답변은 7.5%에 그쳤다.
후유증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은만큼 주말근무의 효율성은 평일과 비교해 '낮다'(38.2%) '매우 낮다'(28.1%) 등의 의견이 대다수였다. '비슷하다'(17.6%) '높다'(15.1%) '매우 높다'(1.0%) 등의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편, 10명 중 7명은 ‘주말근무 스트레스로 이직까지 생각해 본 적 있다’(70.9%)고 응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