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감독원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자기자본 1조원 이상을 대형사, 자기자본 1조원 미만 3000억원 이상을 중형사, 3000억원 미만을 소형사로 규정하고 있다. 이럴 경우 지난해 3월말 기준 대형사는 10곳, 중형사는 18곳에 달한다.
증권금융은 자기자본 5000억원 이상을 대형사로 판단하고 있다. 이 기준대로면 대형사는 21개사로 금감원 기준 을 적용할 때보다 11곳이 늘어나게 된다.
금융투자협회는 공식적 기준은 없다면서도 통상 업계 기준인 자기자본 1조원 이상을 대형사, 중형사는 5000억원 이상, 소형사는 5000억원 미만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금투협이 판단한 기준으로 중형사 수는 11곳으로 금감원 대형사 기준 수와 7개량 차이가 난다. 금투협은 증권사 규모 기준과 매출액 등을 고려해 협회비를 받고 있다.
반면 증권업계에서 대형사를 판단하는 기준은 또 차이가 난다. 자기자본 1조 이상 증권사를 대형사를 꼽으면서도 자본시장법 개정에 맞춰 증자에 나선 대형사들이 실제 증권업계 대형사로 판단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기준은 없지만 업계에서는 현재 대형사를 자본시장법 개정안 도입에 맞춰 대형IB(투자은행) 기준을 맞추기 위해 증자를 나서 자기자본을 3조원 이상으로 늘린 5개사로 판단한다”고 귀띔했다.
증시에선 대형사 기준은 이들 기준과 상이하다. 자기자본 10위권 내 증권사 중 신한금융투자와 하나대투증권, 한국투자증권은 비상장사다. 때문에 일선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통상 증권사 분석을 하며 이 두 증권사를 대부분 제외하고 대형사 기준을 7~8개로 설정하고 있다. 단, 한국투자증권은 모회사인 한국금융지주가 상장되 함께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학계에서는 증권사 규모를 자기자본으로 설정하면서도 순위를 매기는 방식으로 판단하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대형사를 자기자본 기준 상위 5위권 내 회사로 판단 중이다. 이어 중형사는 6위~12위, 소형사는 13위부터로 설정했다.
금융위원회와 금투협은 올해 초 중소형 증권사 발전을 위해 증권사 분사를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증권금융은 지난 13일 중소형 증권사에 대해 일중 유동성 지원 한도를 1조원으로 확대하는 등 자금지원 강화에 나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은 증권사 규모를 구분짓는 기준은 별도로 두지 않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