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도 청와대는 이번 재·보선 결과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일제히 입을 닫았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25일 "청와대와 4월 재·보선은 무관하다.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당선은 이미 예견됐던 일이지 않나"라고 잘라 말하면서도 "한 언론이 안 후보를 거물급이라고 표현했는데, 그 정도는 아니다"라면서 견제하는 분위기였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안 의원이 여의도 정치에 본격적으로 나서게 되면 그의 행보에 시선이 집중되면서 이제야 발동이 걸린 국정드라이브 동력이 약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만약 '안철수 바람'이 재연된다면 새 정부 출범 이후 이어진 인사난맥과 북한의 계속된 도발위협, 개성공단 중단사태로 어려움에 처한 새 정부 국정운영에 부담요인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안 의원이 청와대와 차별성을 부각시키면서 새로운 강력한 리더십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청와대는 이번 재·보선 결과에 대해 나름대로 선방했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이어진 인사난맥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대선 지지율보다 크게 밑돌며 40%대에 머물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민심은 일단 '정부를 믿고 가보자'며 새 정부와 집권여당의 손을 들어줬다고 판단하고 있다.
청와대는 5월에 치러질 민주통합당 5·4 전당대회와 새누리당 원내대표 선거 역시 이번 재·보선 못지않게 국정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로 보고 있다.
새누리당 원내대표 선거의 경우 박 대통령의 신뢰가 깊은 최경환 의원에 힘을 싣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박 대통령의 핵심 대선공약에 있어 국회 입법화가 관건인 만큼 원내대표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고, 친박 좌장격인 최 의원이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깔려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의 5·4 전당대회 역시 '안철수발 정계개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사실상 정권의 중간평가가 될 분기점을 내년 6월 지방선거로 보고 있다. 바로 직후인 10월 재·보선은 새 정부와 집권여당에는 선거구도상 불리한 지형이 만들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늦어도 올 하반기 내 창조경제 등 박 대통령의 핵심 국정과제에서 가시적인 성과물을 내기 위해 본격적인 국정드라이브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