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 쓰레기 처리 비방전 '점입가경'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수도권에서 배출되는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서울시와 인천시간 비방전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서울과 인천이 작년 하반기 공식 대화채널을 끊은데 이어 자치단체가 비방 홍보전에 나섰고 현재는 대시민 여론몰이로 확산되고 있다.

8일 각 자치단체에 따르면 인천 서구 백석동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 사용 기간의 연장·종료를 둘러싸고 지자체 갈등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인천에서 서울의 쓰레기를 받기 시작한 것은 1992년 2월이다. 당시에 백석동은 도시 외곽지역이라 거주 인구가 사실상 없었다.

하지만 도시가 팽창되면서 매립지 주변은 시가지로 변했고, 이곳 시민들은 환경악화로 인한 민원을 줄기차게 제기했다.

그러면서 수도권매립지 사용기한이 2016년말로 임박, 이해 당사자간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는 서울 등 수도권의 쓰레기 매립으로 현지 시민들의 고통이 심각하다면서 2016년 사용 종료를 일관되게 밝히고 있다.

심지어 수도권매립지가 조성된 후 20여년간 인천이 서울 등지의 쓰레기장으로 전락했다고 푸념한다. 쓰레기 처리를 발생 원인 제공자 책임이란 원칙하에 서둘러 대체시설을 확보하라고 주장한다.

반면 서울시는 당장 매립지를 대체할 시설 확보가 어려워 사용기간 연장을 요구하는 중이다.

또 지금까지 매립지 활용 추세(전체 용량의 55% 사용)를 고려하면 2044년까지 추가 처리가 충분하다는 게 서울시측 설명이다.

그렇게 다투는 사이 자치단체는 각자의 귀를 틀어막고 상대방을 1년 넘도록 헐뜯고 있다. 사용 종료와 연장 당위성이 담긴 홍보물을 홈페이지, 전광판, 지하철 등에 공격적으로 게재했다.

인천시는 시민의견을 모아 조만간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들도 기자회견을 통해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이 강행될 경우 쓰레기 반입차량 출입을 막는 등 강경 대응방침을 예고했다.

이에 서울시는 얼마 전 컨테이너에 쓰레기를 담아 화물선에 실어 경인아라뱃길로 운반하는 절충안을 내놓기도 했다. 처리 비용은 늘어나지만 악취와 비산(飛散)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서울시 관계자는 "매립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수도권 주민의 쓰레기 대란이 불가피하다"고 강조를, 인천시측은 "수십년간 오염물질에 고통을 받아 더 이상 연장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