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글로벌 헬스케어 포럼> 김현욱 연구원 "금융계 투자위해선 정부의 정확한 정책 시그널 필요"

아주뉴스코퍼레이션과 한국바이오협회가 공동 주최한 2013 제3회 글로벌 헬스케어 포럼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개막했다. 김현욱 IBK 투자증권 연구원이 패널로 나서 토론을 하고 있다. 이형석=leehs85@

아주경제 한지연 기자= 김현욱 IBK 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패널토론에서 "제약분야가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산업임에도 정부의 정확한 정책 방향을 예측할 수 없어 투자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

김 연구원은 "현재 국내 시가총액은 1200억원정도인데 이 가운데 헬스케어는 2.5% 수준밖에 안된다"며 "금융시장은 굉장히 민감하게 움직이는데 정부의 정책이 규제인지 육성인지 모호해 사모펀드 조성이 힘든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글로벌 제약기업이 된 회사와 이들의 업종을 살펴보면 태생 자체가 공기업인 회사부터 보호 산업 등 과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많았다"며 "국내 제약 산업의 경우 역사는 오래됐지만 그간 국가의 비호나 정책적 배려는 전무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장기적 투자가 되기 위한 방안도 밝혔다.

김 연구원은 "제약은 장기적 투자가 필요함에도 단기적 투자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기업의 연구개발(R&D)이 실제 상용화되는 메커니즘이 없다"며 "금융 쪽의 대규모 투자를 위해서는 마케팅·판촉 활동·기업 데이터 활용 등 회사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업계 차원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제약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그는 "생산·제조·R&D·관리 등 4개 사업 부분을 토대로 영업을 하고 있는 국내 450여개 제약사를 각 비즈니스 전략에 따라 합리적으로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런 데이터 분류작업이 갖춰져야 실제 정책 수행·지원 등에 있어서 각 사가 추구 경영전략 방향을 구체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명확한 정책 방향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김 연구원은 "정부의 정책 수립과 입안·집행 과정에서도 약가 인하·리베이트 쌍벌제 등 한두가지 단일 기준으로 획일화돼 적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며 "제약사와 투자자, 금융산업, 정부 등 사회 각 주체를 고려한 정책 방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