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박 대통령이 3박4일간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베이징과 지방도시 한 곳을 방문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방중 기간, 정상회담 의제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을 중국 측과 협의하고 있다.
미국 방문에 이어 두 번째 해외 방문인 박 대통령의 방중은 북한의 핵실험과 연이은 도발위협으로 어느 때보다 한반도 내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또 역대 정부 가운데 대통령이 일본보다 중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독도문제, 역사문제 등에서 우경화로 치닫고 있는 일본에 대한 경고적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북 지렛대를 갖고 있는 중국을 충분히 활용해 한반도 정세를 주도하면서 한·미·중 공조체제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구상을 드러낸 것으로 읽힌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 취임 후 양국 원수간 통화, 서한 및 특사 교환 등을 통해 중·한관계가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았다"며 "우리는 박 대통령의 이번 국빈방문이 중·한관계를 더욱 높은 발전의 높이로 끌어올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도발위협과 북핵문제, 박 대통령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등이 주요 의제로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경색국면의 남북관계에 물꼬를 트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는 것이다.
특히 양국 정상이 각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에 만나는 자리인 만큼 동북아 평화 구축을 위한 한·미·중 전략적 소통의 필요성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 정상은 또 수교 21년을 맞는 양국관계의 격상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비롯한 양국 경제협력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서 역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자신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언론사 정치부장단 만찬에서 "북한을 변화시키는 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핵이 북한을 지켜준다는 환상을 접도록 하는 데 대해 시진핑 총서기 등과 적극적으로 얘기를 나눠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존 햄리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소장 일행과의 지난 23일 접견에서 박 대통령은 "중국도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안정을 바라고 있다"며 "(이번 방중 때) 중국이 그런 방향에 있어서 (북한에) 긍정적인 영향을 적극적으로 미칠 수 있도록 얘기를 나눠보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로 방중한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을 만나 한반도 비핵화를 거듭 강조했다.
북측은 6자회담을 비롯한 각종 대화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시 주석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다음달 7~8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6자회담 재개 문제 등 한반도 정세 안정화 방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