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운전자는 무죄였나?…"브레이크 배력장치 때문"

  • 김필수 대림대 교수, 급발진 원인 진공배력장치 주장

아주경제 정치연 기자=자동차 급발진의 원인이 브레이크 진공배력장치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급발진의 기술적인 원인을 구체적으로 추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필수 자동차급발진연구회 회장(대림대 교수)은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년간 국내 급발진 의심사고 사례 122건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자동차 급발진의 원인이 브레이크의 진공배력장치 문제라고 잠정 결론 내렸다”고 밝혔다.

연구회는 진공배력장치가 도입된 1970년대 말 급발진 추정 사고가 급증했다는 점, 이 장치를 도입하지 않은 디젤 차량은 급발진 추정 사고가 미미하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국내에서 지난해 보고된 급발진 추정 사고의 95%는 가솔린·LPG 차량이었으며, 디젤 차량은 5%에 불과했다.

진공배력장치는 유압식 브레이크에서 적은 힘으로 제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치다. 진공 펌프를 이용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압력을 4∼5배로 키워 제동력을 높이는 이 장치가 급발진의 원인이 됐다는 것.

진공배력장치에서 생긴 압력은 진공 호스를 통해 엔진 실린더 옆 흡기다기관(버터플라이 밸브)에 전달하는 데 특정 조건에서 압력 이상이 생기면 스로틀 밸브가 열리며 급발진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급발진의 해결책으로 스로틀 밸브와 가속페달 작동을 연동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장착해 의도치 않은 고출력을 피하거나, 별도의 전자식 진공 펌프(EVP)의 적용할 것을 제시했다.

그러나 김 교수는 “현재 이 이론은 하나의 가설”이라며 “정부나 자동차 제조사 등과 함께 이를 검증하면 수개월 안에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