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 “국가정보원에 그런 문제가 있었다면 여야가 제기한 국정원 관련 문제들에 대해 국민 앞에 의혹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그 절차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나설 문제가 아니다”라며 “그것은 국회가 논의해서 할 일”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자체에 대해서는 ‘의혹 규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국정조사’라는 절차는 자신이 관여할 일이 아니라 여야 정치권의 몫이라고 지적하며 분명하게 선을 그은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날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한 국정조사 실시에 대해 오는 27일 중국방문 이전에 결단을 내려달라고 촉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것에 “야당이 그동안 국회 논의들에 대해 대통령이 나서지 말라고 죽 이야기해오지 않았는가”라며 “나는 관여해오지 않았다”라고 강조한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또 박 대통령은 “국정원 댓글사건에 대해서 왜 그런 일이 생겼는지, 왜 그런 일을 했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라며 “대선 때 국정원이 어떤 도움을 주지도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역시‘국정원 대선개입 의혹’은 이명박 정부 당시 벌어진 자신과는 전혀 무관한 일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박근혜 정부의 정통성’을 거론하기 시작한 야권의 공세를 일축하려는 언급으로 해석된다.
앞서 민주당은 김 대표 명의로 박 대통령에게 서한을 전달하고, 오는 26일부터 국정조사 이행을 촉구하는 범국민서명운동, 원내·장외 병행투쟁에 돌입키로 하는 등 전방위적 대여 압박에 나섰다.
이에 새누리당은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며 장외투쟁까지 선포한 민주당 등 야권을 향해 “민생을 도외시한 것”이라며 맞불을 놨다. 아울러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관련 대화록 공개를 촉구하는 등 야권 압박에 나섰다.
새누리당은 “국정원 사건에 대한 검찰조사가 마무리되고 여야 합의대로 국정조사에 임할 수 있다”며 민주당의 ‘선(先) 국정원 국정조사-후(後) 대화록 공개’ 제안을 재차 거부했다. 새누리당은 또 국정조사에 국정원 전 직원과 민주당 당직자 간 뒷거래 의혹을 포함해야 한다며 야권과의 이견차가 크기 때문에 여야 간 접점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