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베이징에 있는 칭화대에서 ‘한중 양국 신뢰의 여정’이란 주제의 연설을 통해 “한중 관계가 이제 더욱 성숙하고 내실있는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 가야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동북아시아에 진정한 평화와 협력을 가져오려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가 새로운 한반도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며 “북한은 핵보유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국제사회의 일치된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평화가 정착되고 남북한 구성원이 자유롭게 왕래하며 안정되고 풍요로운 아시아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한반도가 제가 그리는 새로운 한반도의 모습”이라며 “비록 지금은 남북한이 불신과 대립의 악순환에서 못 벗어나고 있지만 저는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들고,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 문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사라진 동북아 지역은 풍부한 노동력과 세계 최고의 자본과 기술을 결합해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지구촌의 성장 엔진’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