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형 PF 수난시대… 해결 방안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02 17: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민간 출자사 책임 + 정부차원 중재 필요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은평 알파로스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되면서 공모형PF 시장이 불안에 떨고 있다. 앞서 용산국제업무지구개발사업과 광교신도시 에콘힐 등 대표적인 공모형PF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앞으로도 도미노처럼 부도현상이 확산될 수 있어서다.

공모형PF 사업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토지에 민간 출자사들이 개발에 참여하는 민관합동개발방식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 국내 부동산 경기를 주도했으나, 수익성 악화로 자금조달에 난항을 겪으며 쇠퇴하고 있다.

◆공모형PF ‘무산 또 무산’

2일 SH공사에 따르면 1조3000억원 규모의 알파로스PF 사업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시행사의 토지대금 미납으로 무산됐다. SH공사는 만기가 돌아온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1490억원을 상환하고 토지매매계약을 해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등을 감안할 때 은평 알파로스 PF사업을 조기에 재추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전했다.

광교 에콘힐PF 사업도 비슷한 이유로 무산됐다. 특수목적법인 에콘힐(주)이 토지대금을 완납하지 못한 게 원인이었다. 지난달 25일 경기도시공사가 만기가 도래한 ABCP 3700억원을 대납하면서 사업이 종료됐다. 31조원 규모의 용산개발의 경우 추가 자금조달 방안을 둘러싸고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들이 갈등을 겪다가 파행을 빚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현재 추진 중인 30여곳의 공모형PF 사업장도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서울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랜드마크 건립 사업’은 지난해 6월 사실상 무산된 상태로 남아 있다. 시행사인 서울라이트타워가 토지대금을 내지 못하고 사업자인 대우건설컨소시엄마저 사업을 포기했다. 재개를 위한 서울시와의 합의점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 오송역세권 개발사업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최근 청주시의 출자동의안이 통과됐지만 민간투자 유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력한 투자처로 꼽혔던 삼성물산, 롯데관광개발 등은 용산개발 여파로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사업정상화 ‘책임’ 수반돼야

가뭄에 콩나듯 성공한 사례도 있다. 2008년부터 진행된 ‘판교 알파돔시티 사업’이 대표적이다. 다만 효과를 기대하기엔 규모가 5조원으로 작다는 평가다.

이 사업은 지난해 자금 조달 문제로 중단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합세해 토지와 건물을 선매각하면서 6368억원의 토지대금을 조달했다. 이후 분양시장에서 평균 26대 1, 모집별 최고 399대 1이라는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했다. 계약률도 진행 3일만에 95.4%를 달성했다.

따라서 성공적인 PF 사업을 위해서는 민간 출자사들의 책임감과 정부차원의 중재가 필요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공모형PF 정상화 위원회’를 통해 사업정상화 추진에 나섰다. 고양 관광문화단지 1구역 등 7개 사업지가 해당된다. 국토부는 사업 해제 또는 이해당사자들 간의 조정을 통해 PF 사업을 관리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PF사업의 연쇄 부도를 막기 위해서는 민간 출자사들의 역할 분담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시장이 어려울수록 이익만을 따지기보다 공감대를 형성해 해결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