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 인한 환경오염 이곳 주민 생활안전 위협"

  • 조백상 주선양 총영사 인터뷰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북한과 중국은 여전히 당 대 당 교류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유대 관계가 유지되고는 있지만, 북한의 여러 도발적 행위 탓에 북·중 간 인사교류와 협력은 여러 난관에 봉착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이 최근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의 김정은 특사 파견과 김계관 외무성 부상, 김성남 북한노동당 국제부 부부장 등을 중국으로 파견해 대화 협력을 모색하고 있지만 정치·경제 등 모든 분야 정체상태에 놓여 있다.

아주경제는 15일 중국의 동북 3성을 관할하는 조백상 주선양(瀋陽) 총영사를 만나 북한과 인접해 있는 동북 3성의 상황과 북·중 관계의 현주소를 들어봤다.

조 총영사는 김정은 체제 이후 동북 3성의 변화상으로, 우선 북한의 핵실험 후 중국 국경지역 주민들이 북한을 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의 3차 핵실험과 관련해 "북한과 거리상으로 근접해 있기 때문에 실제 환경오염에 대한 동북 3성 지역 주민들의 우려가 크다"며 "낙진 등의 여파와 백두산 화산 활동에 대한 (핵실험의) 영향 등 우려가 커서 지역 주민들이 중앙에 여러 요청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조 총영사는 "수질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며 "본인들 생활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북한에 대해 좋은 시선을 보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 총영사는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 이행과 관련 "중앙 정부 지침 하달로 제재 관련 아이템이 포함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속하는 것은 여러 군데서 목격되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와 달라진 북·중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북·중 간 인사교류나 황금평 개발, 나진·선봉 개발의 정체가 과거와 달라진 북·중 관계를 말하는 것"이라면서 "그러나 북·중 관계의 뿌리와 양측 간 유대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 총영사는 "북·중 간에는 체제가 같고 과거 국공합작 시절부터 어려울 때 당 대 당, 국민 대 국민 간 도와준 역사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국가관계로 회귀한다고 단편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 북한에서 중국의 동북 3성 지역으로 넘어오는 검문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조 총영사는 "정황상 북한 김정은 체제 이후 과거보다 검문이 강화된 것 같다"며 "(북한)국경 내에서부터 통제가 강화되고 있고 조국을 배신했다는 이유로 탈북자에 대한 처벌도 강화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른바 북한의 '체포조'가 실제 동북 3성에서 활동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중국이 자국에서 북한의 행정이 이뤄지는 것을 환영하거나 묵인하지는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측 근로자들에 대한 노동력 유출건과 관련해 "개성공단 내 인력들이 가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면서도 "북한의 저임금에 비해 우수한 노동력을 착안, 중국 외에도 러시아의 사할린이나 중동의 소도시에 소위 '노무수출'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랴오닝성이나 단둥지역을 중심으로 가까운 신의주 쪽에서 오는 북측 노동자들이 중국 공장에 소속돼 일하는 상황"이라며 "북한 인력들이 외화벌이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기 기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