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LG CNS, 효율·경제성 강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 출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16 08: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 [사진제공=LG CNS]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LG CNS는 태양광발전소에 에너지 저장장치(ESS)와 에너지 관리시스템(EMS)을 구축해 발전소의 전력 생산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의 하나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 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 양방향으로 전력 사용량과 전기 요금 등 전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전기 사용량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이다.

LG CNS는 스마트 그리드가 국가 등 넓은 지역의 전력 정보를 교환하는 전력망이라면 마이크로그리드는 좁은 지역의 전력 정보를 교환해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마이크로그리드는 대학, 발전소, 연구소, 공장, 도서 지역 등에 제한된 지역에 적은 비용으로 적용된다고 덧붙였다.

LG CNS가 개발한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은 신재생에너지발전소의 발전설비, 발전용 및 수전용 분전반, 전기실 등 기존 시설에 ESS를 연계하고 이를 EMS로 유기적으로 관리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날씨 변화에 따라 발전량 변동이 크다. LG CNS의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은 ESS를 도입해 전력 소요가 적거나 날씨가 좋을 때 초과 발전되는 잉여 전기를 저장하고 이를 피크타임에 공급하거나 발전소 운영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 도입을 통해 수익성 제고와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LG CNS측은 설명했다.

LG CNS는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 사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이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LG솔라에너지의 태안 태양광발전소에 시험 적용해 실증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실증 결과, 발전소의 전기 소비가 약 65% 줄어 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됐다.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의 핵심설비인 ESS는 친환경성과 무게 및 부피를 고려해 납축전지 대신 LG화학의 리튬폴리머 전지를 채택했다. 리튬폴리머 전지의 높은 가격 때문에 사업 초기 수익성에 의문이 제기되었으나 실증을 통해 사업성이 확인됐다. LG CNS는 리튬폴리머 전지 등 리튬계열의 전지를 채택한 ‘마이크로드리드 솔루션’이 전력 요금이 비싼 국가에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지섭 LG CNS 스마트그린사업부 상무는 “국내 태양광발전소 시공 누적 1위 사업자 LG CNS는 향후 수주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뿐만 아니라 이미 건설된 전국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설을 대상으로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향후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혁신적으로 줄여 마이크로그리드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0인 ‘넷 제로(Net Zero)’ 발전소 구축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인기 기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